320x100

부산광역시에서는 2025년 초등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입학축하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 부산광역시 전체 지원

  • 지원 대상: 2025년 3월 4일 기준 부산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며, 초등학교에 최초로 입학하는 신입생
  • 지원 금액: 학생 1인당 30만 원 (구·군별로 지원 금액이 다를 수 있음)
  • 신청 방법: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
  • 참고 사항: 자세한 사항은 각 구·군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 구·군별 추가 지원

  • 부산진구:
    • 지원 대상: 2025년 3월 4일 기준 부산진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고, 초등학교에 최초 입학하는 학생
    • 지원 금액: 자녀 1명당 30만 원, 소득 무관, 1회 지급
    • 신청 기간: 2025년 3월 4일(화) ~ 12월 5일(금)
    •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부산진구청 평생교육과 또는 주소지 동 주민센터
      • 온라인 신청: 전자우편(kje710@korea.kr) 또는 정부24
    • 참고 사항: 신청서, 통장 사본 등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자세한 내용은 부산진구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장군:
    • 지원 대상: 2025년 3월 4일 기준 기장군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며, 초·중·고등학교 또는 대안교육기관에 입학하는 신입생
    • 지원 금액: 학생 1인당 10만 원
    • 신청 방법: 자세한 내용은 기장군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각 구·군별로 지원 대상, 금액, 신청 기간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의 주민센터나 구청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320x100

 

연도 최저임금(원) 인상률(%)
2025 10,030 1.7
2024 9,860 2.5
2023 9,620 5.0
2022 9,160 5.0
2021 8,720 1.5
2020 8,590 2.9
2019 8,350 10.9
2018 7,530 16.4
2017 6,470 7.3
2016 6,030 8.1
2015 5,580 7.1
2014 5,210 7.2
2013 4,860 6.1
2012 4,580 6.0
2011 4,320 5.1
2010 4,110 2.8

 

📌 주요 특징

  • 2018년과 2019년: 인상률이 각각 16.4%와 10.9%로 크게 증가
  • 2020년 이후: 경제 상황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인상률 둔화
  • 2025년: 사상 첫 10,000원 돌파 (10,030원)
반응형
320x100

정책서민금융 지원 확대 (2025년) 상세 내용

정부는 정책서민금융 지원 규모를 역대 최대 수준인 11조 8000억 원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기존 계획인 10조 8000억 원에서 1조 원을 추가 지원하는 것으로, 고금리와 신용대출 위축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층의 금융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1. 주요 지원 내용

① 정책 서민금융상품 확대 공급

근로자햇살론

  • 대출 한도: 최대 3000만 원
  • 금리: 연 6~10% 수준
  • 대상: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또는 신용평점 하위 20%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근로자

햇살론15

  • 대출 한도: 최대 1400만 원
  • 금리: 연 15% 고정
  • 대상: 저신용자(하위 20%)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 대출 한도: 최대 1000만 원
  • 보증 비율: 100% 전액 보증
  • 대상: 신용점수 하위 10% 이하

📌 상반기 중 전체 예산의 60%를 조기 공급하여 금융 애로를 해소할 계획


2. 서민·취약계층 부담 경감 대책

고금리 대출 부담 완화

  • 기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대환 대출(금리 인하 가능) 지원
  • 불법 사금융 피해 예방 및 채무 조정 지원 강화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 특별 금융 지원

  •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저금리 대출 및 보증 지원 확대

금융 접근성 강화

  • 모바일·온라인 대출 신청 절차 간소화
  • 서민금융진흥원 및 시중은행 협업으로 대출 신청 채널 확대

3. 정책 시행 배경

고금리 기조 지속 → 서민층의 금융 비용 부담 증가
제2금융권(저축은행·캐피탈 등) 대출 축소 → 신용이 낮은 서민들의 대출 접근 어려움
불법 사금융 피해 증가 → 정부 차원의 보호 필요성 대두

 

반응형
320x100

1. "all"이 대명사로 사용될 때

"all"이 대명사(pronoun)로 쓰이면 전치사 앞에 올 수 있습니다.
이때, "all"은 "모든 것" 또는 "모든 사람"을 의미합니다.

예문:

  • I gave all of my money to charity. (나는 내 돈 전부를 자선단체에 기부했다.)
  • She is thinking about all of us. (그녀는 우리 모두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설명:

  • "all of"는 대명사 "all"이 특정한 명사를 수식할 때 사용됩니다.
  • "of"는 소유나 부분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뒤에 특정한 명사가 옵니다.

2. "all"이 한정사(determiner)로 사용될 때

"all"이 한정사(determiner)로 사용될 경우, 보통 전치사 없이 명사 앞에 바로 옵니다.

예문:

  • All children need love. (모든 아이들은 사랑이 필요하다.)
  • All cars must be checked. (모든 차는 점검받아야 한다.)

설명:

  • "all"이 명사를 직접 수식할 때는 전치사 없이 사용됩니다.
  • 이때 "all"은 "모든"이라는 뜻의 한정사 역할을 합니다.

3. "all"이 부사(adverb)로 사용될 때

"all"이 부사(adverb)로 쓰이면, 전치사 없이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합니다.

예문:

  • He was all alone. (그는 완전히 혼자였다.)
  • She is all too aware of the problem. (그녀는 그 문제를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설명:

  • 여기서 "all"은 "완전히(completely)"라는 의미로 부사 역할을 합니다.
  • 전치사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형용사나 다른 부사를 강조합니다.

4. "all" 뒤에 오는 전치사 예시

"all" 뒤에 전치사가 오는 경우는 보통 "all"이 대명사로 쓰일 때입니다.

📌 "all of + 명사/대명사"

  • All of the students passed the test. (모든 학생들이 시험에 합격했다.)
  • All of my time is spent on work. (내 모든 시간은 일하는 데 쓰인다.)
  • All of it was delicious. (그것 전부 맛있었어.)

📌 "all" 뒤에 전치사가 직접 오는 경우

  • All over the world, people celebrate New Year's Day. (전 세계에서 사람들이 새해를 기념한다.)
  • He searched all through the house. (그는 집 전체를 샅샅이 뒤졌다.)

설명:

  • "all over", "all through", "all around" 같은 표현은 전치사와 함께 하나의 의미 단위로 사용됩니다.
  • 여기서 "all"은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결론 정리

  1. "all" 뒤에 전치사가 오는 경우
    • "all"이 대명사일 때 → "all of + 명사/대명사" (예: All of them are here.)
    • "all"이 강조 역할을 할 때 → "all over / all through / all around" (예: all over the world)
  2. "all" 뒤에 전치사가 오지 않는 경우
    • "all"이 한정사(determiner)일 때 → 전치사 없이 명사 앞에 직접 위치 (예: All children)
    • "all"이 부사(adverb)일 때 → 전치사 없이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 (예: all alone)

📌 요약:
"all of + 명사/대명사" 구조로 전치사가 올 수 있음
"all over / all through / all around" 같은 표현에서 전치사가 사용됨
"all"이 한정사/부사로 쓰이면 전치사 없이 사용됨

이제 "all"을 문맥에 맞게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겠죠? 😊

반응형
320x100

"all of the"와 "all"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ll of the"

  • 특정한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 "the"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미 정해진 집합을 의미합니다.
  • 보통 복수 명사 또는 불가산 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예문:

  • All of the students passed the exam. (모든 학생들이 시험에 합격했다.)
    → 특정한 학생 집단(예: 우리 반 학생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
  • All of the water is polluted. (그 물 전체가 오염되었다.)
    → 특정한 물(예: 어떤 강이나 호수의 물)에 대해 말할 때.

2. "all"

  • "all of the"보다 더 일반적인 표현이며, 경우에 따라 "of the"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통 셀 수 있는 복수 명사나 불가산 명사 앞에 직접 사용됩니다.

예문:

  • All students must wear a uniform. (모든 학생들은 교복을 입어야 한다.)
    → 학생 전체(특정 집단이 아닐 수도 있음).
  • All water is essential for life. (모든 물은 생명에 필수적이다.)
    → 특정한 물이 아니라, 물이라는 개념 자체를 의미함.

정리

특정한 대상을 강조하고 싶으면 → "all of the"
일반적인 개념을 말할 때는 → "all"

둘 다 문법적으로 맞지만,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문맥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

 

 

반응형
320x100

 

 

2024년 굿즈이즈굿 V1 소개 영상

 

 

'굿즈이즈굿 V.2 (Goods is Good)' 전시회는 2025년 3월 4일부터 3월 9일까지 서울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행사로, 다양한 굿즈와 관련된 최신 트렌드와 제품을 소개합니다.

 

[관람 및 행사 안내 페이지]

 

 

굿즈이즈굿

다양한 크리에이터들과 가치를 공유하는 곳, 새로운 즐거움이 시작되는 곳, 굿즈굿!

goodsisgood.co.kr

 

 

전시회 정보:

  • 기간: 2025년 3월 4일(화) ~ 3월 9일(일)
  • 장소: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 위치 및 교통편: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는 서울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1번 출구 또는 공항철도 마곡나루역 6번 출구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합니다.

 

주차 안내:

  • 주차 요금: 승용차 기준 최초 30분 2,000원, 이후 15분당 1,000원, 1일 주차 시 30,000원
  • 문의: 코엑스 마곡 주차관리실 (전화: 02-2261-6790)

전시회 주요 내용

  • 굿즈 디자인 트렌드: 최신 디자인 동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반영한 굿즈를 선보입니다.
  • 굿즈 제작 기술: 첨단 기술과 소재를 활용한 굿즈 제작 방법과 사례를 소개합니다.
  • 브랜드 협업 사례: 성공적인 브랜드 협업을 통해 탄생한 굿즈와 그 과정을 공유합니다.
  • 굿즈 마케팅 전략: 굿즈를 활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및 프로모션 전략을 제시합니다.

참여 기업 및 브랜드: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브랜드가 참여하여 각자의 독특한 굿즈를 전시합니다. 참여 기업 목록은 전시회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대 행사:

  • 워크숍 및 세미나: 굿즈 디자인, 제작, 마케팅 등에 관한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네트워킹 이벤트: 참여자들 간의 교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관람 정보:

  • 관람 시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입장료: 성인 10,000원, 학생 5,000원 (사전 등록 시 할인 혜택 제공)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