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2025년 전기차 지방 보조금(광역시 기준)을 바탕으로 EV4 트림별 지역별 실구매가 예상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트림 기본가격 국고보조금(최대) 지방 보조금 총 보조금(최대) 실구매가(최대 보조금 적용)
Air 트림 4,200만 원 580만 원 150만 원 730만 원 약 3,470만 원
Earth 트림 4,700만 원 580만 원 150만 원 730만 원 약 3,970만 원
GT-Line 5,200만 원 580만 원 150만 원 730만 원 약 4,470만 원

 

부산

트림 기본가격 국고보조금(최대) 지방보조금 총 보조금(최대) 실구매가(최대 보조금 적용)
Air 트림 4,200만 원 580만 원 300만 원 880만 원 약 3,320만 원
Earth 트림 4,700만 원 580만 원 300만 원 880만 원 약 3,820만 원
GT-Line 5,200만 원 580만 원 300만 원 880만 원 약 4,320만 원

 

인천

트림 기본가격 국고보조금(최대) 지방보조금 총 보조금(최대) 실구매가(최대 보조금 적용)
Air 트림 4,200만 원 580만 원 200만 원 780만 원 약 3,420만 원
Earth 트림 4,700만 원 580만 원 200만 원 780만 원 약 3,920만 원
GT-Line 5,200만 원 580만 원 200만 원 780만 원 약 4,420만 원

 

대전

트림 기본가격 국고보조금(최대) 지방보조금 총 보조금(최대) 실구매가(최대 보조금 적용)
Air 트림 4,200만 원 580만 원 300만 원 880만 원 약 3,320만 원
Earth 트림 4,700만 원 580만 원 300만 원 880만 원 약 3,820만 원
GT-Line 5,200만 원 580만 원 300만 원 880만 원 약 4,320만 원

 

위 표는 2025년 전기차의 국고 보조금 최대 580만 원과 각 광역시별 지방 보조금을 반영한 실구매가입니다.

 

반응형
320x100

 

최근 중국 자동차 BYD의 한국진출과 함께 중국 자동차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SU7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으며 SU7에 대한 트림과 국내 출시가능성과 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샤오미가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며 공개한 첫 번째 모델 SU7

혁신적인 기술력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28일 공식 출시된 이 모델은 샤오미의 기존 스마트폰,

가전제품과의 연계를 강화한 스마트카 개념을 적용했으며, 중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1. 샤오미 SU7의 트림별 옵션

SU7은 기본적으로 스탠다드(Standard), 프로(Pro), 맥스(Max)의 세 가지 트림으로 나뉘며, 각 트림에 따라 성능과 기능에 차이가 있습니다.

(1) SU7 스탠다드(Standard)

  • 가격: 약 21.59만 위안 (한화 약 4,200만 원)
  • 배터리: 73.6kWh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BYD 제공)
  • 주행 거리: CLTC 기준 700km
  • 출력: 299마력 (후륜구동)
  • 제로백(0→100km/h): 5.3초
  • 휠: 19인치 알로이 휠
  • 서스펜션: 기본 서스펜션
  • 기본 편의 사양:
    • 16.1인치 중앙 디스플레이 (샤오미 HyperOS 기반)
    • 스마트폰 및 IoT 연동
    • 12스피커 사운드 시스템
    • 기본 ADAS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2) SU7 프로(Pro)

  • 가격: 약 24.59만 위안 (한화 약 4,800만 원)
  • 배터리: 94.3kWh 리튬이온(NCM) 배터리 (CATL 제공)
  • 주행 거리: CLTC 기준 830km
  • 출력: 374마력 (후륜구동)
  • 제로백: 4.3초
  • 휠: 20인치 휠 업그레이드
  • 서스펜션: 어댑티브 서스펜션 적용
  • 추가 옵션:
    • 고급 ADAS 시스템 (고속도로 및 시내 자율주행 지원)
    • 스마트 도어 핸들
    • 액티브 에어 서스펜션 추가
    • 프리미엄 나파 가죽 시트
    • 향상된 스마트 IoT 연동

(3) SU7 맥스(Max)

  • 가격: 약 29.99만 위안 (한화 약 5,800만 원)
  • 배터리: 101kWh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 (CATL)
  • 주행 거리: CLTC 기준 800km (듀얼 모터로 인해 다소 감소)
  • 출력: 664마력 (전륜 + 후륜 듀얼 모터, 사륜구동)
  • 제로백: 2.8초 (테슬라 모델 S와 동급)
  • 휠: 21인치 퍼포먼스 휠
  • 서스펜션: 전자제어식 에어 서스펜션
  • 고급 옵션:
    • Lidar 기반 완전 자율주행 기능
    • 샤오미 AI 어시스턴트 탑재
    • 20스피커 하이엔드 사운드 시스템
    • 전기식 도어
    • 향상된 스마트 IoT 통합 (가정 내 모든 스마트 기기와 연동)
    • 실내 AR 헤드업 디스플레이
    • 통합형 냉각/가열 좌석 시스템

2. 국내 출시 가능성 분석

샤오미 SU7은 현재 중국 내수 시장 전용 모델로 개발되었으며, 해외 진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여러 정황을 고려했을 때, 국내 출시 가능성은 2027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1) 중국 내 폭발적인 수요

SU7은 중국에서 사전 예약만 5만 대 이상을 기록했으며, 생산 속도를 감안하면 최소 3년간은 내수 시장을 우선할 것으로 보입니다. 샤오미 관계자는 **"3년간 중국 시장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한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는 이후 진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국내 전기차 시장의 법규 및 인증 문제

  • 한국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려면 환경부 인증국토교통부의 차량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 중국산 전기차가 국내 인증을 받는 데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크며,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호환성 문제도 해결해야 합니다.
  • 국내 보조금 정책이 중국산 전기차에 불리하게 적용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3) 경쟁 모델 대비 가격 및 성능 비교

  • SU7은 테슬라 모델 3, BYD 씰, 현대 아이오닉 6 등과 경쟁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 가격 경쟁력은 우수하지만, 브랜드 인지도와 AS망 부족이 한국 시장에서의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4) 평행 수입 가능성

  • 일부 개인이나 수입업체를 통해 중국에서 SU7을 구매한 후 평행 수입(병행 수입) 방식으로 국내에 들여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 하지만 이 경우 보증 서비스, 충전기 호환성, AS 문제 등 여러 난관이 예상됩니다.

3. 결론: SU7을 국내에서 만나볼 수 있을까?

샤오미 SU7은 가성비와 혁신적인 스마트 기능을 앞세워 테슬라, BYD 등과 경쟁할 만한 강력한 전기차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중국 내수 시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 출시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만약 국내 출시된다면?

  • 2027년 이후 글로벌 시장 진출 시 한국도 포함될 가능성이 큼
  • 테슬라 모델 3, 아이오닉 6 대비 가격 경쟁력이 강점
  • 샤오미 스마트 생태계 연동으로 차별화 가능

단기적으로는?

  • 평행 수입을 통해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은 있음
  • 그러나 AS, 인증, 충전 인프라 문제로 인해 단점이 존재

현재로서는 기다려야 하는 모델이지만, 향후 한국 시장에서도 만날 수 있을지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320x100

기아 카렌스(Kia Carens)

기아 카렌스는 1999년 처음 출시된 소형 MPV(Multi-Purpose Vehicle)로,

실용성과 공간 활용성을 강조한 패밀리카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2018년에 단종되었지만,

해외에서는 여전히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2022년 이후 크로스오버 SUV 형태로 변화하면서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기아 카렌스는 지금까지 4세대가 출시되었으면 세대별 특징과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대별 특징 및 역사

🔹 1세대 (RS, 1999~2006) – 기아 최초의 MPV

  • 출시 배경:
    1999년, 기아자동차가 현대차 그룹에 인수된 이후, 실용적인 다목적 차량(MPV)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 주요 특징:
    • 세단 기반의 전륜구동 소형 MPV
    • 5인승 및 7인승 모델 제공
    • 엔진: 1.8L, 2.0L 가솔린 엔진 (디젤 모델은 일부 시장에서만 출시)
    • 변속기: 5단 수동 및 4단 자동변속기
    • 실내 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2열 폴딩 기능 제공
    • 해외에서는 Kia Rondo라는 이름으로 판매
  • 단점:
    • 디자인이 보수적이고 밋밋하다는 평가
    • 엔진 출력이 부족하고 연비가 경쟁 모델 대비 낮음

🔹 2세대 (UN, 2006~2013) – 유럽과 북미 시장 진출

  • 출시 배경:
    1세대의 성공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여 보다 세련된 디자인과 개선된 성능을 갖춘 2세대가 출시되었습니다.
  • 주요 특징:
    • 플랫폼 변경으로 차량 크기 증가 (더 넓은 실내 공간)
    • 2.0L, 2.4L 가솔린 엔진과 1.6L, 2.0L 디젤 엔진 추가
    • 5단 자동변속기 및 6단 수동변속기 도입
    • 디자인 개선: 곡선형 디자인과 현대적인 인테리어 적용
    • 안전성 향상: ABS, EBD, 듀얼 에어백 기본 적용
    • 해외에서 높은 인기를 얻어 북미 시장에서도 Kia Rondo라는 이름으로 판매
  • 판매 성과:
    • 북미 시장에서는 '패밀리카'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특히 캐나다에서 높은 판매량 기록
    • 유럽에서도 준수한 성과를 보였으나, 미국 시장에서는 SUV 인기 상승으로 인해 점차 판매 감소

🔹 3세대 (RP, 2013~2019) – 고급화 및 실용성 강화

  • 출시 배경:
    글로벌 MPV 시장이 점차 축소되고 SUV가 인기를 얻으면서, 기아는 3세대 카렌스를 보다 세련된 디자인과 높은 실용성을 갖춘 모델로 변화시켰습니다.
  • 주요 특징:
    • 디자인 혁신: 타이거 노즈(Tiger Nose) 그릴 적용, 곡선미를 강조한 외관
    • 실내 고급화: 대형 터치스크린, 내비게이션, 파노라마 선루프 제공
    • 엔진: 1.7L 디젤, 2.0L 가솔린 엔진 제공
    • 변속기: 6단 수동 및 자동변속기
    • 연비 개선 및 NVH(소음·진동·불쾌감) 성능 향상
    • 7인승 모델 기본 제공, 2열과 3열을 접으면 넓은 적재공간 활용 가능
    • 전자식 스티어링(EPS)과 다양한 주행 모드 제공
  • 판매 성과 및 단종:
    • 국내에서는 SUV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판매량이 저조하여 2018년 단종
    • 유럽과 아시아 일부 시장에서는 2019년까지 판매 지속
    • 경쟁 모델인 혼다 오디세이, 도요타 시에나 등의 대형 MPV 대비 차별화 부족

🔹 4세대 (KY, 2022~현재) – 크로스오버 SUV로 변신

  • 출시 배경:
    SUV가 MPV 시장을 대체하면서, 기아는 4세대 카렌스를 기존 MPV에서 크로스오버 SUV 형태로 전환하여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 주요 특징:
    • SUV 스타일 적용: 높은 지상고와 스포티한 디자인 도입
    • 모던한 인테리어: 대형 디지털 계기판, 10.25인치 터치스크린, 보스(BOSE) 오디오 시스템
    • 엔진 옵션:
      • 1.5L 가솔린
      • 1.4L 터보 가솔린
      • 1.5L 디젤
    • 변속기 옵션: 6단 수동, 7단 DCT 자동변속기
    •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AS) 적용
    • 7인승 모델 유지, 실내 공간 극대화
  • 시장 반응:
    • 인도에서 매우 높은 판매량 기록 (현대 크레타, 마힌드라 XUV700 등과 경쟁)
    • SUV와 MPV의 장점을 결합한 패밀리카로 인기
    • 유럽과 북미에서는 아직 출시되지 않음

🔹 기아 카렌스의 의의

  1. 기아 최초의 MPV 모델로 실용성과 패밀리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 2세대와 3세대는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준수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SUV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단종되었습니다.
  3. 4세대 모델은 SUV 스타일로 변화하여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 중이며, 현대적인 기술과 패밀리카의 실용성을 겸비한 모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카렌스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MPV에서 SUV로 변신하며 생존한 몇 안 되는 모델 중 하나이며,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주목됩니다. 🚗

반응형
320x100

자동차세는 배기량(cc) 또는 차종에 따라 계산됩니다.


🔹 자동차세 계산 공식 (비영업용 승용차 기준)

배기량(ℓ) × 세율(원/cc) = 자동차세(원)

📌 배기량에 따른 세율

배기량(cc) 세율(원/cc)
1,000cc 이하 80원
1,600cc 이하 140원
1,600cc 초과 200원

지방교육세: 자동차세의 30% 추가 납부

연납 할인: 1월에 선납하면 10% 할인


🔹 자동차세 예시

1️⃣ 1,500cc 차량 (국산 승용차)

아반떼

자동차세 = 1,500cc × 140원 = 210,000원
지방교육세 = 210,000원 × 30% = 63,000원
총 납부액 = 273,000원
1월 연납 시 = 273,000원 × 90% = 245,700원

2️⃣ 2,000cc 차량 (중형 승용차)

소나타

자동차세 = 2,000cc × 200원 = 400,000원
지방교육세 = 400,000원 × 30% = 120,000원
총 납부액 = 520,000원
1월 연납 시 = 520,000원 × 90% = 468,000원

3️⃣ 3,000cc 차량 (대형 승용차)

그랜저

자동차세 = 3,000cc × 200원 = 600,000원
지방교육세 = 600,000원 × 30% = 180,000원
총 납부액 = 780,000원
1월 연납 시 = 780,000원 × 90% = 702,000원


🔹 전기차 및 기타 차량

ev6

전기차: 연간 130,000원 (지방교육세 포함)
하이브리드: 감면 혜택 있음 (지역별 상이)
화물차(1톤 이하): 연간 28,500원

 

 

 

🔹 전기차 자동차세

전기차의 자동차세는 기본적으로 13만 원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별로 추가적인 감면 혜택이나 차별화된 세금 정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지역에서는 전기차에 대해 세금이 전혀 부과되지 않거나 세액이 더 적을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전기차 자동차세

  • 기본 세액: 연 13만 원 (지방교육세 포함)
  • 일부 지역 감면: 서울, 경기, 부산 등에서는 전기차에 대해 추가적인 세액 감면이 제공될 수 있음
  • 하이브리드차와의 차이점: 하이브리드차는 세액 감면 폭이 적고, 전기차가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반응형
320x100
 

2024년 12월까지의 국산차 판매량과 점유율

 

 

10위 그랑 콜레오스: 판매량 22,034대, 점유율 2.00%

 

르노코리아의 중형 SUV로서,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비중이 높음


 9위 셀토스: 판매량 61,897대, 점유율 5.50%

소형 SUV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며,

다양한 소비자층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본 것으로 평가


8위 포터2: 판매량 49,576대, 점유율 4.40%

 

상용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며,

다양한 업종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킴


7위 아반떼: 판매량 56,890대, 점유율 5.10%

준중형 세단 시장에서 꾸준한 판매를 기록하며,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비중이 높음


6위 투싼: 판매량 55,257대, 점유율 5.00%

준중형 SUV로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며,

다양한 소비자층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본 것으로 평가


5위 쏘나타: 판매량 57,355대, 점유율 5.10%

중형 세단 시장에서 꾸준한 판매를 기록하며,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비중이 높음


4위 그랜저: 판매량 71,656대, 점유율 6.40%

현대의 플래그십 세단으로서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성능을 갖추어 판매량 증가


3위 스포티지: 판매량 74,255대, 점유율 6.60%

준중형 SUV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며,

다양한 소비자층을 타겟으로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본 것으로 평가


2위 카니발: 판매량 82,748대, 점유율 7.40%

가족용 미니밴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며,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비중이 높아 환경 친화적인 선택으로 주목


1위 쏘렌토: 판매량 94,538대, 점유율 8.40%

기아의 대표적인 중형 SUV로, 2024년 한 해 동안 꾸준한 판매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의 인기가 높아 전체 판매량의 약 68%를 차지


 

2024년 한 해 동안 국산차 시장은 다양한 모델들의 활약으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졌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의 인기가 높아져 환경 친화적인 선택이 주목받았습니다.


 

반응형
320x100

메리츠화재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 주행거리 마일리지 할인 특약

 

책임개시일 24.4.16일 부터 주행거리별 환급 할인 

주행거리 할인
1만 7천 km 이하 4%
1만 5천 km 이하 7%
1만 2천 km 이하 16%
1만 km 이하 22%
5천 km 이하 35%
3천 km이하 38%

 

 

 

책임개시일 25.01.21일 부터  주행거리별 환급 할인 (개인용 상품기준)

주행거리 할인
1만 7천 km 이하 2%
1만 5천 km 이하 2%
1만 2천 km 이하 10%
1만 km 이하 17%
8천 km 이하 28%
5천 km 이하 37%
3천 km이하 46%



  •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