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

  • "No, thanks." → 아주 일반적이고 공손한 표현입니다.
  • 예:
    Waiter: Anything else?
    You: No, thanks.
    ✔️ 가장 추천되는 표현입니다!

❌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러운 표현:

  • "It's ok." → 원어민에게는 "괜찮다" 라는 모호한 표현으로 들릴 수 있어요. 상황에 따라 "그건 괜찮아요"처럼 오해될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아요.
  • "It's enough." → 문법적으로 틀리진 않지만, 약간 직역투(한국어 '충분해요')처럼 들릴 수 있어서 부자연스럽습니다. 웨이터가 아닌, 친구나 가족끼리 말할 땐 괜찮을 수 있어요.
  • 예: "No more for me, it's enough." 같은 문장은 가능하지만 혼자 *"It's enough."*만 말하면 다소 어색합니다.

다른 자연스러운 표현 예시:

  • "That's all, thank you."
  • "I'm good, thanks."
  • "No, I'm fine, thank you."

정리:

표현 자연스러움 비고
No, thanks. ✅ 매우 자연스러움 가장 추천되는 표현
It's ok. ❌ 어색함 의미가 모호함
It's enough. ⚠️ 조금 부자연스러움 직역투처럼 들릴 수 있음
That's all. ✅ 자연스러움 예의 바르게 마무리할 때 좋음
I'm good, thanks. ✅ 자연스러움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주 사용됨

 

728x90
반응형
320x100

 

표현 의미/용법 예문 해석
go for it (도전을) 해보다 You want to try it? Go for it! 해봐! 도전해봐!
go nuts 미치다, 흥분하다 The kids went nuts at the party. 아이들이 파티에서 완전 신났어.
go with the flow 흐름에 맡기다 I didn’t plan anything, just going with the flow. 그냥 흐름에 맡기고 있어.
go off 울리다 / 폭발하다 The fire alarm went off.
She went off on me.
화재 경보가 울렸어. / 그녀가 나한테 갑자기 화냈어.
go easy on 살살 하다, 자제하다 Go easy on the sugar. 설탕 좀 살살 넣어.
go down 일이 벌어지다 Something big went down last night. 어젯밤 큰일이 있었어.
go figure 어이없네, 이상하네 He quit the day after getting promoted. Go figure. 승진하자마자 그만뒀어. 어이없지.
go way back 오래된 사이이다 We go way back to middle school. 우린 중학교 때부터 친구야.
go-to 항상 찾게 되는 / 믿고 쓰는 She’s my go-to person for advice. 고민 있을 때 항상 찾는 사람이야.
go through 겪다, 경험하다 She went through a tough time. 힘든 시기를 겪었어.
go over 검토하다, 복습하다 Let’s go over the report again. 보고서를 다시 한번 검토하자.
go out 데이트하다, 외출하다 Are they going out? 걔네 사귀는 거야?
go around 퍼지다, 돌아다니다 There’s a rumor going around. 소문이 돌고 있어.
go under 망하다, 침몰하다 The company went under last year. 그 회사 작년에 망했어.
go ahead 시작하다, 먼저 하다 Go ahead, I’m listening. 먼저 말해. 듣고 있어.
go by ~라는 이름으로 불리다 He goes by "Tony" at work. 직장에선 ‘토니’라고 불려.
go out of one’s way 특별히 애쓰다 She went out of her way to help me. 날 도와주려고 일부러 애썼어.
 
728x90
반응형
320x100

💰 Borrow vs. Lend – “빌리다”와 “빌려주다”의 정확한 구분

영어에서 “빌리다”와 “빌려주다”는 서로 반대의 개념입니다. 하지만 한국어로는 모두 "빌리다"로 표현되기도 해서, 영어에서의 borrowlend는 꼭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


🔍 1. 의미 및 사용 차이


구분 Borrow Lend
기본 의미 빌리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서) 빌려주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방향 받는 쪽 입장 주는 쪽 입장
문법 구조 borrow + 목적어 + from 사람 lend + 사람 + 목적어
형태 변화 borrowed / borrowing lent / lending
 

🧪 2. 예문으로 비교하기

Borrow – "빌리다"

  • Can I borrow your pen?
    → 너 펜 좀 빌릴 수 있을까?
  • I borrowed a book from the library.
    → 나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렸어.

Lend – "빌려주다"

  • I’ll lend you my car for the weekend.
    → 주말 동안 너에게 내 차를 빌려줄게.
  • She lent me some money.
    → 그녀는 나에게 돈을 빌려줬다.

🎯 3. 블로그용 요약 표

표현뜻사용 주체구조 예시
표현 사용 주체 구조 예시
borrow 빌리다 빌리는 사람 (내가) borrow + 물건 + from 사람
lend 빌려주다 빌려주는 사람 (내가) lend + 사람 + 물건
 

💡 기억하기 쉬운 정리

Borrow는 ‘나한테 오게’,
Lend는 ‘남에게 가게’ 하는 것!”


📌 예외 없이 기억할 팁

  • ❌ I borrowed him my book. (틀림)
  • ✅ I lent him my book.
  • ✅ I borrowed a book from him.
728x90
반응형
320x100

👂 Hear vs. Listen – “듣다”의 영어 표현 차이 정리

hearlisten은 모두 "듣다"라는 의미를 갖지만, 듣는 방식과 의도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이해하면 영어 표현이 더 풍부하고 정확해집니다.


🔍 1. 의미 및 사용 차이 비교

 

구분 Hear Listen (to)
기본 의미 (저절로) 들리다 (의도적으로) 귀 기울이다
의도성 ❌ 없음 (수동적) ✅ 있음 (능동적)
상황 소리가 들릴 때 집중해서 들을 때
전치사 보통 전치사 없음 listen + to 사용
 

🧪 2. 예문으로 비교하기

Hear – ‘들리다’, ‘귀에 들어오다’

  • I can hear music from the next room.
    → 옆방에서 음악 소리가 들려요.
  • Did you hear that noise?
    → 그 소리 들었어요?

Listen (to) – ‘귀 기울여 듣다’

  • Please listen to me carefully.
    → 제 말 좀 잘 들어주세요.
  • He is listening to the radio.
    → 그는 라디오를 집중해서 듣고 있어요.

🎯 3. 블로그 요약 Tip

표현 초점 문법 구조 예시
hear 소리가 들리는 행위 (수동적) hear + (소리) I heard a dog bark.
listen 의도적으로 듣기 (능동적) listen to + 대상 She listened to the teacher.
 

💡 기억하기 쉬운 정리

Hear는 그냥 들리고,
Listen은 내가 귀를 기울이는 것!”

728x90
반응형
320x100

🗣️ Say vs. Tell – “말하다”의 영어 표현 차이 완전 정리

영어에서 “말하다”를 표현할 때 흔히 쓰는 단어가 saytell입니다.
두 단어 모두 누군가에게 말을 전하는 행위를 의미하지만, 문장 구조와 목적어 사용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


🔍 1. 의미 및 사용 차이 비교

구분 Say Tell
기본 의미 말을 하다 (무엇을 말했는지에 초점) 말하다 (누구에게 말했는지에 초점)
주요 특징 말의 내용을 강조 말의 대상을 강조
문법 구조 say + (내용) tell + 사람 + (내용)
직접 목적어 ❌ 사람 목적어 없음 (to 사용) ✅ 사람 목적어 반드시 필요
 

🧪 2. 대표 예문으로 차이 이해하기

Say – “(무엇을) 말하다”

  • He said hello.
    → 그는 인사말을 했다.
  • She said that she was tired.
    → 그녀는 피곤하다고 말했다.
  • What did you say to him?
    → 그에게 뭐라고 말했어?

Tell – “(누구에게) 말하다”

  • He told me the truth.
    → 그는 나에게 진실을 말했다.
  • Please tell her I’ll be late.
    → 그녀에게 내가 늦을 거라고 말해 줘.
  • I told them not to worry.
    → 나는 그들에게 걱정 말라고 했다.

🎯 3. 블로그용 요약 Tip

표현 초점 문법 구조 예시
say 무엇을 말했는지 say + 내용 (+ to 사람) He said, “I’m fine.”
tell 누구에게 말했는지 tell + 사람 + 내용 She told me a story.
 

💡 기억하기 쉬운 정리

Say는 말을 무엇을 했는지,
Tell누구에게 했는지가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
320x100

👁️‍🗨️ See / Look / Watch – “보다”의 세 가지 영어 표현 완전 정리

영어에서 "보다"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세 단어는 see, look, watch입니다.
세 단어 모두 "보다"라는 공통된 의미를 가지지만, 의도성, 시간성, 집중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 1. 의미 및 사용 차이 비교

구분 See Look Watch
기본 의미 무의식적으로 눈에 들어오다 시선을 의도적으로 주다 움직임이나 변화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다
의도성 ❌ (자연스럽게 인식) ✅ (의도적으로 시선 이동) ✅ (집중해서 지켜봄)
시간성 순간적 짧거나 순간적 지속적
대상 물체, 사람, 풍경 등 특정 방향, 대상 영상, 스포츠, 공연 등 움직이는 것
 

🧪 2. 대표 예문으로 차이 이해하기

See – ‘눈에 보이다’, ‘보다’

  • I see a bird in the sky.
    → (무심코) 하늘에 새가 보여.
  • Did you see Jenny at the party?
    → (우연히) 파티에서 제니 봤어?

Look (at) – ‘시선을 주다’, ‘바라보다’

  • Look at that painting. Isn’t it beautiful?
    → 저 그림 좀 봐. 정말 예쁘지?
  • He looked at me and smiled.
    → 그가 나를 보고 웃었어.

Watch – ‘지켜보다’, ‘감상하다’

  • I’m watching a movie.
    → 영화 보고 있어. (지속적인 감상)
  • She watched the kids play in the park.
    → 그녀는 공원에서 아이들이 노는 걸 지켜봤어.

🎯 3. 블로그용 요약 Tip

표현 핵심 키워드 쓰임 예시
see 무의식적 인식 우연히 사람을 보다, 하늘을 보다
look (at) 의도된 시선 그림, 사람, 방향 등을 바라보다
watch 집중과 시간의 흐름 영화, TV, 스포츠, 아이들 행동 등
 

💡 기억하기 쉬운 정리

See는 그냥 보이고,
Look은 내가 보려고 하고,
Watch는 계속 집중해서 지켜본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