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시리아 내전 발단, 전개, 영향, 종결

by 다모음블로그 2025. 2. 2.
728x90
반응형
SMALL

 

시리아 내전 개요: 발단, 전개, 영향

 

시리아 내전은 2011년 3월 반정부 시위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지속되고 있는 장기적인 내전입니다. 이 전쟁은 바샤르 알 아사드(Bashar al-Assad) 정부와 반군 세력 간의 충돌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국제 사회의 개입, 이슬람 극단주의 조직(IS)의 등장, 쿠르드족의 독립 움직임 등 복잡한 요소들이 얽히면서 더욱 장기화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십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는 등 중대한 인도적 위기가 초래되었습니다.


1. 시리아 내전의 발단 (2011년)

① 아랍의 봄과 시리아 반정부 시위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의 봄' 민주화 운동은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 전반으로 확산되었으며, 이는 시리아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2011년 3월, 시리아 남부 도시 **다라(Daraa)**에서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했습니다.
  • 이는 경찰이 반정부 낙서를 한 10대 학생들을 체포·고문한 사건에서 촉발되었습니다.
  • 이후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정부는 강경 진압을 선택하였습니다.
  • 경찰과 군이 시위대를 강력하게 탄압하면서 희생자가 늘어나자, 반정부 정서는 더욱 고조되었습니다.

② 반군 세력 형성과 내전 발발

  • 2011년 7월, 아사드 정권의 탄압을 견디다 못한 군인 일부가 이탈하여 자유 시리아군(FSA, Free Syrian Army)을 창설하고 무장 투쟁을 선언하면서 본격적인 내전이 시작되었습니다.
  • 이후 여러 반군 세력들이 등장하였으며,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도 점차 내전에 개입하게 되었습니다.

2. 내전의 전개 및 주요 사건 (2011~2020년대)

① 정부군 vs 반군의 충돌 (2011~2013년)

  • 내전 초반에는 반군이 수도 다마스쿠스(Damascus)와 북부 주요 도시 알레포(Aleppo) 등을 장악하며 정부군을 위협했습니다.
  • 하지만 정부군은 강력한 무력 진압을 통해 주요 지역을 수복하였고,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받으며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습니다.

② 국제 사회의 개입 (2013~2015년)

  • 2013년 8월, 수도 다마스쿠스 외곽에서 사린 가스 공격이 발생하여 수백 명이 사망하였고, 이는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 미국은 아사드 정권을 강력하게 비판하며 군사 개입을 검토했지만, 러시아의 반대로 대규모 군사 개입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이란과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는 아사드 정권을 지원하며 개입했고, 미국과 서방 국가들은 반군을 지원하면서 내전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흘러갔습니다.

③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등장 (2014년~2017년)

  • 2014년, 이라크와 시리아 지역에서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Islamic State)가 급부상하였습니다.
  • IS는 시리아 동부와 이라크 서부 지역을 점령하고, 칼리프 국가 선포를 선언하면서 국제적인 문제로 확대되었습니다.
  •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IS 격퇴를 위해 공습을 개시하였으며, 2017년 IS는 대부분의 주요 거점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④ 쿠르드족의 역할과 터키의 개입 (2015년~2020년대)

  • 시리아 북부에서는 쿠르드족이 **시리아 민주군(SDF, Syrian Democratic Forces)**을 조직하고 자치 지역을 구축하였습니다.
  • 터키는 쿠르드족의 자치권 확대를 위협으로 간주하고 2016년부터 시리아 북부를 침공하여 쿠르드 세력과 충돌하였습니다.

⑤ 러시아의 적극적 개입과 정부군 우위 (2015년~2020년대)

  • 2015년 러시아는 아사드 정권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며 공습 작전을 개시하였고, 이는 전세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러시아의 개입 이후 정부군은 알레포, 다마스쿠스, 홈스(Homs) 등을 차례로 탈환하며 반군을 격퇴하였습니다.
  • 2018년 이후, 아사드 정권은 대부분의 영토를 다시 장악하였으며, 반군 세력은 이들립(Idlib) 지역을 중심으로 잔존해 있는 상황이었다.

3. 시리아 내전의 영향

① 인도적 위기: 수백만 명의 난민 발생

  • 내전으로 인해 약 50만 명 이상이 사망하였으며, 수많은 민간인이 정부군과 반군, IS의 전투 과정에서 희생되었습니다.
  • 약 1,300만 명이 난민 또는 국내 실향민(IDP)이 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난민 위기 중 하나가 발생하였습니다.
  • 터키, 레바논, 요르단, 유럽 국가들로 대규모 시리아 난민이 유입되면서 국제적인 난민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② 국제 질서 변화와 지정학적 긴장

  • 시리아 내전은 미국, 러시아, 이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 여러 강대국이 개입한 국제적인 proxy war(대리전)의 성격을 띠게 되었습니다.
  • 러시아와 이란은 아사드 정권을 적극 지원하여 중동 내 영향력을 강화하였으며, 미국과 유럽은 반군과 쿠르드족을 지원하면서 국제적인 갈등이 확대되었습니다.
  • 터키는 시리아 쿠르드족을 견제하기 위해 직접 개입하였으며, 이로 인해 나토(NATO) 내부에서도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습니다.

③ 경제적 붕괴와 재건 문제

  • 시리아의 경제는 전쟁으로 인해 사실상 붕괴하였으며, 인프라가 심각하게 파괴되었습니다.
  • 전후 재건에는 수십 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국제 사회의 지원 없이 독자적인 경제 회복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4. 종결

  • 2024년 12월 8일 반군 세력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이 모스크바로 망명하면서 공식적으로 종결되었습니다.
  • 내전의 종결에도 불구하고, 시리아는 여전히 심각한 인도적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국제적십자연맹(ICRC)과 유엔은 시리아의 급변하는 상황과 사회 불안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세계식량계획(WFP)에 따르면, 시리아 지원금은 작년 대비 80% 수준에 그쳐 기부금 부족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유엔 인도적업무조정실(OCHA)은 수천 명이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내전의 종결은 시리아와 중동 지역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기간의 분쟁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인도적 문제의 해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