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 Say vs. Tell – “말하다”의 영어 표현 차이 완전 정리

영어에서 “말하다”를 표현할 때 흔히 쓰는 단어가 saytell입니다.
두 단어 모두 누군가에게 말을 전하는 행위를 의미하지만, 문장 구조와 목적어 사용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


🔍 1. 의미 및 사용 차이 비교

구분 Say Tell
기본 의미 말을 하다 (무엇을 말했는지에 초점) 말하다 (누구에게 말했는지에 초점)
주요 특징 말의 내용을 강조 말의 대상을 강조
문법 구조 say + (내용) tell + 사람 + (내용)
직접 목적어 ❌ 사람 목적어 없음 (to 사용) ✅ 사람 목적어 반드시 필요
 

🧪 2. 대표 예문으로 차이 이해하기

Say – “(무엇을) 말하다”

  • He said hello.
    → 그는 인사말을 했다.
  • She said that she was tired.
    → 그녀는 피곤하다고 말했다.
  • What did you say to him?
    → 그에게 뭐라고 말했어?

Tell – “(누구에게) 말하다”

  • He told me the truth.
    → 그는 나에게 진실을 말했다.
  • Please tell her I’ll be late.
    → 그녀에게 내가 늦을 거라고 말해 줘.
  • I told them not to worry.
    → 나는 그들에게 걱정 말라고 했다.

🎯 3. 블로그용 요약 Tip

표현 초점 문법 구조 예시
say 무엇을 말했는지 say + 내용 (+ to 사람) He said, “I’m fine.”
tell 누구에게 말했는지 tell + 사람 + 내용 She told me a story.
 

💡 기억하기 쉬운 정리

Say는 말을 무엇을 했는지,
Tell누구에게 했는지가 중요하다.”

반응형
320x100

👁️‍🗨️ See / Look / Watch – “보다”의 세 가지 영어 표현 완전 정리

영어에서 "보다"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세 단어는 see, look, watch입니다.
세 단어 모두 "보다"라는 공통된 의미를 가지지만, 의도성, 시간성, 집중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 1. 의미 및 사용 차이 비교

구분 See Look Watch
기본 의미 무의식적으로 눈에 들어오다 시선을 의도적으로 주다 움직임이나 변화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다
의도성 ❌ (자연스럽게 인식) ✅ (의도적으로 시선 이동) ✅ (집중해서 지켜봄)
시간성 순간적 짧거나 순간적 지속적
대상 물체, 사람, 풍경 등 특정 방향, 대상 영상, 스포츠, 공연 등 움직이는 것
 

🧪 2. 대표 예문으로 차이 이해하기

See – ‘눈에 보이다’, ‘보다’

  • I see a bird in the sky.
    → (무심코) 하늘에 새가 보여.
  • Did you see Jenny at the party?
    → (우연히) 파티에서 제니 봤어?

Look (at) – ‘시선을 주다’, ‘바라보다’

  • Look at that painting. Isn’t it beautiful?
    → 저 그림 좀 봐. 정말 예쁘지?
  • He looked at me and smiled.
    → 그가 나를 보고 웃었어.

Watch – ‘지켜보다’, ‘감상하다’

  • I’m watching a movie.
    → 영화 보고 있어. (지속적인 감상)
  • She watched the kids play in the park.
    → 그녀는 공원에서 아이들이 노는 걸 지켜봤어.

🎯 3. 블로그용 요약 Tip

표현 핵심 키워드 쓰임 예시
see 무의식적 인식 우연히 사람을 보다, 하늘을 보다
look (at) 의도된 시선 그림, 사람, 방향 등을 바라보다
watch 집중과 시간의 흐름 영화, TV, 스포츠, 아이들 행동 등
 

💡 기억하기 쉬운 정리

See는 그냥 보이고,
Look은 내가 보려고 하고,
Watch는 계속 집중해서 지켜본다.”

반응형
320x100

전세보증보험 보증료는 보증기관(HUG, HF, SGI)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보증금액 × 보증료율로 계산됩니다. 보증료율은 주택 유형, 보증기간, 임차인의 신용등급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보증료 계산 공식

보증료=보증금액×보증료율

  • 보증금액: 전세계약서에 명시된 전세보증금
  • 보증료율: 기관별로 다르며, 보증 대상 주택 유형 및 보증기간에 따라 변동

2. 보증료율 (2025년 기준)

(1) HUG(주택도시보증공사)

  • 아파트: 연 0.128% ~ 0.176%
  • 비아파트(다세대, 연립, 오피스텔 등): 연 0.154% ~ 0.242%
  •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
  •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보증료 할인 가능

✅ 예시: 보증금 3억 원, 아파트(0.128%)

3억×0.00128=384,000원3억 × 0.00128 = 384,000원

✅ 예시: 보증금 2억 원, 오피스텔(0.154%)

2억×0.00154=308,000원2억 × 0.00154 = 308,000원

(2) SGI 서울보증

  • 아파트: 연 0.192% ~ 0.23%
  • 비아파트(다가구, 다세대 등): 연 0.2% ~ 0.3%
  • 신용등급과 무관하게 동일 보증료율 적용
  • 보증금 상한 없음 (단, 10억 원 초과 시 별도 심사 필요)

✅ 예시: 보증금 5억 원, 아파트(0.2%)

5억×0.002=1,000,000원5억 × 0.002 = 1,000,000원

(3) HF(주택금융공사)

  • 일반 전세보증: 연 0.15% ~ 0.20%
  • 사회적 배려 대상자(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등): 10% ~ 40% 할인 적용 가능

✅ 예시: 보증금 2억 원, 일반 보증(0.15%)

2억×0.0015=300,000원2억 × 0.0015 = 300,000원


3. 보증료 할인 혜택

  • 청년(만 34세 이하): 최대 40% 할인
  • 신혼부부(혼인신고 7년 이내): 최대 30% 할인
  • 저소득층(중위소득 100% 이하): 최대 20% 할인
  • 장애인, 다자녀 가구, 한부모 가정: 추가 할인 적용 가능

할인 적용 예시:
신혼부부(30% 할인), 보증금 2억 원, 아파트(0.128%)

2억×0.00128×0.7=179,200원2억 × 0.00128 × 0.7 = 179,200원


4. 보증료 납부 방법

  • 일시 납부 (계약 시 한 번에 납부)
  • 분할 납부 가능 여부: 기관별로 다름 (HUG는 일부 분할 가능)
  • 보증 연장 시 추가 보증료 납부 필요

5. 보증료 계산기 활용

정확한 금액은 보증기관의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보증료율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반응형
320x100

2025년 귀속 종합소득세의 세율 표와 세액 계산 방법

1. 종합소득세 세율표 (2025년 기준)

2025년 귀속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은 총소득에서 소득 공제액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아래는 각 구간별 세율입니다.

과세표준 (원)세율

과세표준(원) 세율
1,400만 원 이하 6%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15%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24%
8,800만 원 초과 ~ 1억 5,000만 원 이하 35%
1억 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38%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40%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42%
10억 원 초과 45%

 

2.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구간의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구체적으로, 누진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각 구간에 대해 별도의 세액을 계산하고 이를 합산하는 방식입니다.

세액 계산 예시

과세표준이 2,000만 원인 경우를 예로 들어 계산해보겠습니다.

  1. 1,400만 원까지:
    • 1,400만 원 × 6% = 84만 원
      (이 부분은 세율이 6%이므로 1,400만 원까지는 6% 세율을 적용)
  2. 1,400만 원 초과 600만 원:
    • 600만 원 × 15% = 90만 원
      (1,400만 원을 초과한 나머지 600만 원에 대해서는 15% 세율을 적용)
  3. 총 세액:
    • 84만 원 (1,400만 원까지의 세액) + 90만 원 (초과 금액의 세액) = 174만 원

따라서, 과세표준이 2,000만 원인 경우 종합소득세는 174만 원이 됩니다.

 

3. 누진세율 적용 방식

종합소득세의 특징은 누진세율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즉, 전체 소득에 대해 한 번에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구간에 따라 별도로 세액을 계산한 후 합산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5,000만 원의 과세표준을 가진 경우, 1,400만 원까지는 6%, 1,400만 원 초과 5,000만 원까지는 15%가 적용됩니다.

5,000만 원의 예시

  • 1,400만 원까지:
    • 1,400만 원 × 6% = 84만 원
  • 1,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1,400만 원 ~ 5,000만 원):
    • 3,600만 원 × 15% = 540만 원
  • 총 세액:
    • 84만 원 + 540만 원 = 624만 원

 

4. 세액 공제 및 환급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후, 납부할 세액에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이 있다면 이를 차감하여 최종 납부해야 할 세액이 계산됩니다. 세액 공제 항목에는 기부금, 보험료, 의료비 등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공제를 적용한 후 최종 세액을 납부하게 됩니다.

 

5. 결론

2025년 귀속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다양한 세율이 적용되며, 이를 기반으로 세액을 계산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세액 계산은 누진세율이 적용되어 각 구간마다 세액을 계산한 후 합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이 있다면 이를 반영하여 납부할 세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액 계산 방식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신고 시 정확한 공제 항목을 확인하여 세액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320x100

"below"와 "under"는 둘 다 "아래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되는 상황과 뉘앙스가 다릅니다. 주요 차이를 살펴보고 각각의 예제를 들어보겠습니다.


1. Below

  • 위치적으로 더 낮은 위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두 대상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을 때 사용됩니다.
  • 수직적인 기준점 아래에 있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제:

  1. 위치적 사용
    • The temperature today is below freezing.
      (오늘의 기온은 영하입니다.)
      → 기준점인 0도보다 아래를 의미.
    • Look at the chart below the text.
      (본문 아래의 표를 보세요.)
      → 표와 텍스트가 접촉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아래 위치.
  2. 추상적 사용
    • Her performance was below average.
      (그녀의 성과는 평균 이하였습니다.)
      → 추상적인 수치나 기준 아래.

2. Under

  • 물리적으로 어떤 것의 바로 아래를 나타내며, 종종 접촉이 있거나 덮여 있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지배, 통제, 상태 등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예제:

  1. 위치적 사용
    • The keys are under the table.
      (열쇠는 테이블 아래에 있어요.)
      → 테이블 바로 아래에 있고, 접촉 가능성 있음.
    • The dog is hiding under the bed.
      (강아지가 침대 밑에 숨었어요.)
      → 침대 아래로 들어가 접촉 가능.
  2. 추상적 사용
    • The company is under new management.
      (회사는 새로운 경영 아래 있습니다.)
      → 지배, 통제 의미.
    • She is under a lot of stress these days.
      (그녀는 요즘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 상태, 영향을 강조.

차이를 요약하자면:

  • below: 접촉이 없는 경우, 주로 추상적이거나 수직적 위치.
  • under: 접촉이 있는 경우, 물리적 접촉, 덮임, 또는 지배·상태.

혼동하기 쉬운 경우

  • The plane flew below the clouds.
    (비행기가 구름 아래로 날아갔습니다.)
    → 구름과 접촉하지 않음.
  • The plane flew under the bridge.
    (비행기가 다리 아래로 날아갔습니다.)
    → 다리와 접촉할 가능성 있음, 물리적 아래.
반응형
320x100
도움이되나? 영어표현

"Is it helpful?" 또는 "Does it help?"

이 두 표현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 "Is it helpful?": 현재 제공된 것이 유용한지 묻는 표현입니다.
  • "Does it help?": 어떤 행동이나 정보가 실제로 도움을 주고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

"화상영어는 도움이 안돼" 영어표현

 

"Online English classes don't help."
또는
"Video English lessons aren't helpful."

이 두 표현 모두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표현은 직설적이고 간단하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두 번째 표현은 약간 더 부드러운 뉘앙스로 "유용하지 않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

"화상영어는 영어실력에 도움이 안돼" 또는 "화상영어는 영어에 도움이 안돼" 영어포현

 

"Online English classes don't help improve English skills."
또는
"Online English lessons don't help with English."

 

선택 기준:

  1. 영어 실력에 초점
    • "Online English classes don't help improve English skills."
      → 영어 실력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싶을 때 사용.
  2. 일반적인 영어에 대한 도움
    • "Online English lessons don't help with English."
      → 좀 더 간단하고 포괄적으로 표현하고 싶을 때 적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