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보험 보증료는 보증기관(HUG, HF, SGI)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보증금액 × 보증료율로 계산됩니다. 보증료율은 주택 유형, 보증기간, 임차인의 신용등급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보증료 계산 공식
보증료=보증금액×보증료율
- 보증금액: 전세계약서에 명시된 전세보증금
- 보증료율: 기관별로 다르며, 보증 대상 주택 유형 및 보증기간에 따라 변동
2. 보증료율 (2025년 기준)
(1) HUG(주택도시보증공사)
- 아파트: 연 0.128% ~ 0.176%
- 비아파트(다세대, 연립, 오피스텔 등): 연 0.154% ~ 0.242%
-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 적용
-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보증료 할인 가능
✅ 예시: 보증금 3억 원, 아파트(0.128%)
3억×0.00128=384,000원3억 × 0.00128 = 384,000원
✅ 예시: 보증금 2억 원, 오피스텔(0.154%)
2억×0.00154=308,000원2억 × 0.00154 = 308,000원
(2) SGI 서울보증
- 아파트: 연 0.192% ~ 0.23%
- 비아파트(다가구, 다세대 등): 연 0.2% ~ 0.3%
- 신용등급과 무관하게 동일 보증료율 적용
- 보증금 상한 없음 (단, 10억 원 초과 시 별도 심사 필요)
✅ 예시: 보증금 5억 원, 아파트(0.2%)
5억×0.002=1,000,000원5억 × 0.002 = 1,000,000원
(3) HF(주택금융공사)
- 일반 전세보증: 연 0.15% ~ 0.20%
- 사회적 배려 대상자(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등): 10% ~ 40% 할인 적용 가능
✅ 예시: 보증금 2억 원, 일반 보증(0.15%)
2억×0.0015=300,000원2억 × 0.0015 = 300,000원
3. 보증료 할인 혜택
- 청년(만 34세 이하): 최대 40% 할인
- 신혼부부(혼인신고 7년 이내): 최대 30% 할인
- 저소득층(중위소득 100% 이하): 최대 20% 할인
- 장애인, 다자녀 가구, 한부모 가정: 추가 할인 적용 가능
✅ 할인 적용 예시:
신혼부부(30% 할인), 보증금 2억 원, 아파트(0.128%)
2억×0.00128×0.7=179,200원2억 × 0.00128 × 0.7 = 179,200원
4. 보증료 납부 방법
- 일시 납부 (계약 시 한 번에 납부)
- 분할 납부 가능 여부: 기관별로 다름 (HUG는 일부 분할 가능)
- 보증 연장 시 추가 보증료 납부 필요
5. 보증료 계산기 활용
정확한 금액은 보증기관의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 HUG 보증료 계산기: HUG 공식 홈페이지
- SGI 서울보증 계산기: SGI 서울보증
- HF 주택금융공사 계산기: HF 공식 홈페이지
보증료율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 여자, 초등, 중등, 고등 학생 평균 키, 몸무게, 남학생, 여학생 (1) | 2025.03.25 |
---|---|
연도별 혼인, 이혼 건수,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0) | 2025.03.24 |
2025년 전세보증 보험 가입 방법, 조건, 필요 서류, 신청 절차, 보증금 한도, (0) | 2025.03.13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 기간, 대상, 방법, 손택스, 모바일 (1) | 2025.03.11 |
출산율 계산방법, 계산법, 개념, 의미 (6)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