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ls – 현재 디렉토리 내용 출력(List Directory Contents)

cd – 위치이동(Change Directory)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mkdir – 디렉토리생성(Make Directory)

rmdir – 디렉토리삭제(Remove Directory)

rm – Remove

cp – Copy

mv – Move

touch – 파일생성(Create Empty File)

cat – Concatenate and Display

nano – Text Editor

grep – Search

sudo – Superuser Do

apt-get – Package Manager

dpkg – Package Manager

chmod – Change Mode

chown – Change Owner

tar – Tape Archive

uname – Print System Information

date – Display Date and Time

shutdown – Shutdown or Restart System

ps – Process Status

top – Display System Activity

du – Disk Usage

df – Disk Free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0. 도커(Docker) 사용이유

   - 도커는 컨테이너 라는 표준화된 형태로 패키징하고 이 컨텐이너 안에는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 코드,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 도커를 통하여 이미지화 하고 이러한 이미지들은 배포 및 관리를 단순하고 쉽게 하게 한다.

   - 일반적으로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도커)를 비교하는데 차이점은 가상머신은 운영체제와 하드웨어까지 모두 가상화에 포함되기 때문에 무거우며 컨테이너(도커)는 운영체제 수준에서 가상화를 하기 때문에 가상머신 보다 가볍다.

 

1. Docker 설치 여부 확인 및 옛날 버전 삭제하기

   - 명령어: sudo apt-get remove docker-engine docker.io containerd runc

   - 그외 설치 관련 명령어 설명

      sudo apt-get update: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된 패키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새로운 패키지 존재 여부확인을 위해  해야된다.

      sudo apt-get upgrade: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버전을 업그레이드 한다.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 이름]: [패키지 이름]를 설치한다.

      sudo apt-get remove [패키지 이름]: [패키지 이름]를 삭제한다.

      sudo apt-get purge [패키지 이름]: 패키지 삭제와 동시에 관련된 모든 설정 파일을 함께 삭제한다.

      sudo apt-get autoremove: 불필요한 의존성을 가진 패키지를 모두 삭제한다. 이전에 설치된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함  께 설치된 패키지들중 지금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들을 삭제한다.      

2. 설치 가능한 패키지 정보 업데이트

   - 명렁어: sudo apt-get update

3. 필수패키지 설치

   - 명령어: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nupg-agent software-properties-common

4. GPG Key 인증

   - 명령어: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OK 가 출력됨

5. Docker Repository 등록

   - 자신의 아키텍쳐에 맞춰서 Docker Repository를 등록해야됨

   - 아키텍쳐 확인 명령어: arch

   - 명령어:

          sudo add-apt-repository \
          "deb [arch=amd64]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
          $(lsb_release -cs) \
          stable"

정상 작동 결과

6. Docker 설치

   - 명령어: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 Docker 설치후 설치된 Docker 확인 명령어: docker -v

7. Docker Service 동작 유무 확인

   - 명령어: systemctl status docker 또는 service docker status

   - Docker 가 active 되어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타 블로그 내용에서 시스템 부팅시 Docker가 시작되도록 설정하는 내용들이 있는데, 설정 없이도 시스템 부팅시  docker가 기본적으로 시작되도록 설정되어 있음

   - 만약 부팅시 자동실행 설정을 해야된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명령어: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 service docker start

Docker 상태 출력결과(Ctrl + C 를 누르면 원래 명령어 입력 상태로 돌아감)

 

8. 서비스 관리 명령어 정리

   - service 명령어와 systemctl 명령어?: 실행결과는 같지만 service 명령어를 실행하면 결국 systemctl 명령어가 실행되어 동작하게 된다.

   - systemctl start [서비스명]: 서비스 시작

   - systemctl stop [서비스명]: 서비스 중지

   -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 : 서비스 상태 확인(서비스 구동 유무 확인이 가능)

   - systemctl restart [서비스명] : 서비스 재시작

   - systemctl reload [서비스명] : 서비스를 중지하지 않고 설정 값을 반영

   - systemctl enable [서비스명] : 시스템이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서비스 실행하도록 등록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1. 종료하기

   1.1 UI에서 종료하기

      - 아래 화면에서 오른쪽위 버튼 클릭

      - Pwer Off / Log Out 선택

      - Power Off... 선택

      - Power Off 팝업 창에서 Power Off 선택

  1.2 터미널에서 종료하기

      - Ctrl + Alt + T 키를 입력하여 터미널 실행한다.(왼쪽 그림)

      - sudo shutdown -h now 입력 후 엔터(오른쪽 그림)

      - 계정 비밀번호 입력 

 

2. 터미널 실행하기

   - 터미널이란 컴퓨터에 사용자가 명령을 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는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창으로 되어 있으며 그 창에 키보드를 이용하여 명령어들을 입력한다.

   - 1990년 말 윈도우 운영체제가 대중화 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GUI 인터페이스가 익숙하지한 90년 중반 이전에는 MS 도스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Console 창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고 이를 통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MS 도스 운영체제에서 명령어 입력

   - 리눅스(우분투) 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터미널을 이용하게 된다.

 

   2.1 UI에서 터미널 실행

      - 왼쪽아래에 3x3 그리드 형태의 아이콘 클릭

      - 맨 아래에 Ter...(원래는 Terminal) 으로 보이는 아이콘 클릭

      - 터미널 실행됨^^

   2.2 단축키로 터미널 실행

      - Ctrl + Alt + T 키를 누르면 터미널이 실행됨

3. 터미널 명령어

   - cd <directory 이름>: 디렉토리 위치 이동시 사용

   - ls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및 폴더를 출력

   - cp <파일1> <파일2>: 파일1과 동일한 파일2를 만든다.

   - mkdir <디렉토리이름>: <디렉토리이름>의 폴더를 만든다.

   - rmdir <디렉토리이름>: <디렉토리이름>의 폴더를 삭제한다.

   - pwd: 현재 경로 출력

   - touch <파일명>: <파일명> 파일 생성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