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한국 현대사에서 계엄령은 주요 정치적, 사회적 갈등 상황에서 정부가 선포한 비상조치였습니다.
계엄령은 일반적으로 국내 혼란이나 전쟁 상황에서 군이 치안을 담당하도록 하고,
일부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며, 정부의 통제를 강화하는 조치입니다.
아래는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계엄령 사건과 당시 상황에 대한 상세 내용입니다.
이승만 정부 시기의 계엄령 (총 4번)
- 1948년 여순사건
- 배경: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에 반대한 군부대의 반란.
- 지역: 전라남도 여수와 순천.
- 내용: 반란 진압을 위해 계엄령 선포, 군 작전 전개.
- 결과: 민간인 희생자 다수 발생, 공산주의자 색출 및 강경 진압.
- 1950년 6.25 전쟁
- 배경: 한국전쟁 발발로 국가 위기 상황.
- 지역: 대한민국 전역.
- 내용: 치안 유지 및 국가 총력전 체제 전환.
- 결과: 계엄을 통해 군사권 강화 및 국민 통제.
- 1952년 부산 정치파동
- 배경: 이승만 정부의 직선제 개헌을 위한 강제 조치.
- 지역: 부산.
- 내용: 계엄령 하에 국회의원 체포와 탄압.
- 결과: 직선제 개헌 통과, 대통령 권력 강화.
- 1960년 4.19 혁명
- 배경: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학생과 시민의 대규모 시위.
- 지역: 서울 등 주요 도시.
- 내용: 계엄령 선포와 군 동원으로 시위 진압 시도.
- 결과: 이승만 하야, 제1공화국 붕괴.
박정희 정부 시기의 계엄령 (총 4번)
- 1961년 5.16 군사정변
- 배경: 박정희 소장의 쿠데타로 정권 장악.
- 지역: 전국.
- 내용: 행정권과 사법권을 군이 장악.
- 결과: 군사정권 수립 및 제3공화국 출범.
- 1971년 대통령 선거 직후
- 배경: 야당 지지세 확대 및 대규모 반정부 시위 가능성.
- 지역: 서울 및 주요 도시.
- 내용: 계엄령으로 야당 활동 억제.
- 결과: 치안 유지와 야당 위축.
- 1972년 유신헌법 선포
- 배경: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헌법 개정.
- 지역: 전국.
- 내용: 언론 통제, 국회 해산, 정치활동 금지.
- 결과: 유신체제 성립, 독재 체제 강화.
- 1979년 부마항쟁
- 배경: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시위 발생.
- 지역: 부산, 마산.
- 내용: 계엄령을 통해 강제 진압.
- 결과: 박정희 암살로 유신체제 붕괴.
전두환 정부 시기의 계엄령 (총 1번)
-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 배경: 박정희 사망 후 정국 불안과 신군부의 권력 장악 시도.
- 지역: 전국 계엄령 확대.
- 내용:
- 서울의 봄 시위 진압과 함께 계엄령 강화.
- 광주에서 시민들과 계엄군 간의 격렬한 충돌 발생.
- 계엄군의 과잉 진압으로 다수 사상자 발생.
- 결과: 광주민주화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적 사건으로 남음. 신군부가 정권 장악 후 전두환이 대통령에 취임.
반응형
LIST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 의미 구속 기간 석방 일 (1) | 2025.01.24 |
---|---|
이재명 더블어민주당 대표 대장동, 위례신도시, 성남 FC 관련 기소 사건 진행 재판 사항 (1) | 2025.01.21 |
변론기일, 최종결정, 탄핵 심판 후 21대 대통령 선거 예상 일 일정 날짜 (1) | 2025.01.21 |
이재명 대표 혐의 재판 공판 일정 기소 내용 사항 (0) | 2025.01.21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헌재 변론 기일 일정 최종 결정 날짜 재판 일정 (1)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