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파이썬 실행 구조의 이해

   ▶ 시작은 어디인가?
      - 모든 일의 행위는 시작이 있음

      - 프로그램의 실행은 컴퓨터가 일을 하는 행위

      - 일의 시작을 알려줘야 됨

   ▶ 명시적 시작 위치

      - 일반적인 프로그램 언어는 명시적으로 시작 위치가 정해져 있음

자바와 C언어에서의 시작 위치
   ▶ 파이썬 코드
      - 묵시적으로 시작위치를 설정함
      - 파이썬은 왼쪽에 있는 코드로 시작

2. 변수란 무엇인가?

   ▶ 값을 저장하는 저장공간
   ▶ 컴퓨터에게 저장공간을 만드는 명령어
      - 컴퓨터가 값이 저장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변수 이름이 필요함

3. 변수의 종류

   ▶ 정수형: 10, 20, 1000, …
   ▶ 실수형: 1.2, 0.2, 10.4, …
   ▶ 문자열: 안녕’, ‘이름’, ‘ABCED’, '102425'
 

4. 변수 생성 방법과 출력하기

   ▶ 코드 작성
   - 작성방법: 변수 이름 = 값
   ▶ 출력결과

5. 변수의 사용

   ▶ 다른 값 저장하기

   ▶ 계산 값 저장하기
   ▶ 문자열, 실수 저장하기

6. 입력 함수

7. 변수 이름

   ▶ 의미 있는 이름을 사용
   ▶ 소문자 대문자가 서로 구분됨
   ▶ 변수 이름은 영문자, 숫자, 밑줄(_)만 가능함
   ▶ 변수 이름 중간에 공백 불가

 

8. 낙타체(Camel Case)

   ▶ 소문자로 적고 뒤에 붙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

9. 상수(constant)

   ▶ 변하지 않고 항상 같은 값을 가지는 수

   ▶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변수

   ▶ 파이썬에서는 모두 대문자로 작성한 변수를 상수로 약속함

 

10. 주석

   ▶ 소스코드에 설명 글 작성
   ▶ 코드 전체 설명을 위해 작성

 

728x90
반응형
LIST

'IT > 파이썬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sort, sorted 함수에 key, lambda 사용  (0) 2024.05.08
파이썬 sort, sorted 함수 차이  (0) 2024.05.08
파이썬 zip 함수 사용하기  (0) 2024.05.08
파이썬 map 함수  (0) 2024.05.08
파이썬 enumerate 함수  (0) 2024.05.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