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2024년 굿즈이즈굿 V1 소개 영상

 

 

'굿즈이즈굿 V.2 (Goods is Good)' 전시회는 2025년 3월 4일부터 3월 9일까지 서울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행사로, 다양한 굿즈와 관련된 최신 트렌드와 제품을 소개합니다.

 

[관람 및 행사 안내 페이지]

 

 

굿즈이즈굿

다양한 크리에이터들과 가치를 공유하는 곳, 새로운 즐거움이 시작되는 곳, 굿즈굿!

goodsisgood.co.kr

 

 

전시회 정보:

  • 기간: 2025년 3월 4일(화) ~ 3월 9일(일)
  • 장소: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 위치 및 교통편: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는 서울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1번 출구 또는 공항철도 마곡나루역 6번 출구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합니다.

 

주차 안내:

  • 주차 요금: 승용차 기준 최초 30분 2,000원, 이후 15분당 1,000원, 1일 주차 시 30,000원
  • 문의: 코엑스 마곡 주차관리실 (전화: 02-2261-6790)

전시회 주요 내용

  • 굿즈 디자인 트렌드: 최신 디자인 동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반영한 굿즈를 선보입니다.
  • 굿즈 제작 기술: 첨단 기술과 소재를 활용한 굿즈 제작 방법과 사례를 소개합니다.
  • 브랜드 협업 사례: 성공적인 브랜드 협업을 통해 탄생한 굿즈와 그 과정을 공유합니다.
  • 굿즈 마케팅 전략: 굿즈를 활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및 프로모션 전략을 제시합니다.

참여 기업 및 브랜드: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브랜드가 참여하여 각자의 독특한 굿즈를 전시합니다. 참여 기업 목록은 전시회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대 행사:

  • 워크숍 및 세미나: 굿즈 디자인, 제작, 마케팅 등에 관한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네트워킹 이벤트: 참여자들 간의 교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관람 정보:

  • 관람 시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입장료: 성인 10,000원, 학생 5,000원 (사전 등록 시 할인 혜택 제공)
반응형
320x100

 

 

순위 기업명 초봉(만원) 비고
1 SK하이닉스 6,950 2024년 기준
2 삼성전자 6,897 2024년 기준
3 LG화학 6,090 2024년 기준
4 기아 5,500 2024년 기준
5 현대자동차 5,462 2024년 기준
6 카카오 5,300 2024년 기준
7 네이버 5,250 2024년 기준
8 삼성바이오로직스 5,201 2024년 기준
9 LG에너지솔루션 5,074 2024년 기준
10 POSCO홀딩스 4,700 2024년 기준
11 삼성SDI 4,120 2024년 기준

 

이 표는 2024년 기준으로 제공된 신입사원 초봉 정보이며, 성과급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각 기업의 채용 공고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해주세요. ^^

반응형
320x100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通常賃金)은 근로자가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받는 기본적인 임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등으로 정해진 기본급과 고정적인 수당을 포함합니다.

법적으로 통상임금은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등의 산정 기준이 되는 임금이므로, 통상임금이 높아지면 이러한 수당도 증가하게 됩니다.

 

 

통상임금 관련 논란

최근 통상임금을 둘러싼 논란은 주로 기업과 노동자 간의 임금 산정 방식 차이 및 미지급 수당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기상여금의 포함 여부
    • 법원에서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된다"**는 판결을 내렸지만, 기업들은 이를 부담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특히, 과거에 지급되지 않았던 연장근로수당 등을 소급하여 지급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부담 증가 vs. 근로자의 권리 보장
    • 노동자 측은 정당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며, 기업 측은 추가 비용 부담으로 인해 경영 악화 및 고용 감소가 우려된다고 주장합니다.
  3. 법적 소송 증가
    • 많은 기업에서 통상임금 소송이 제기되고 있으며, 과거 미지급분에 대한 청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 특히 대법원 판결에 따라 기업이 추가로 지급해야 할 임금 규모가 수조 원대에 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법원의 판례 변경

2024년 12월 1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통상임금에 관한 두 건의 판결을 통해 기존의 판단 기준을 변경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정성 요건의 제외: 대법원은 통상임금의 판단 기준에서 고정성을 제외하고, 소정근로의 대가성, 정기성, 일률성만을 기준으로 삼기로 하였습니다. 즉, 근로자가 정해진 근로를 제공하면 지급되는 임금은 그에 부가된 조건과 관계없이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2. 재직 조건부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지급 시점에 재직 중인 근로자에게만 지급되는 상여금이라도, 그것이 소정근로의 대가로서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에 포함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근무일수 조건부 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일정 근무일수를 충족해야 지급되는 수당도 소정근로의 대가로 인정되면 통상임금에 포함된다고 보았습니다.

판례 변경의 배경과 의미

대법원은 기존의 고정성 요건이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근거가 없으며, 임금의 범위를 부당하게 축소하여 근로자의 정당한 보상을 저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고정성 요건이 사용자로 하여금 임금에 조건을 부과하여 통상임금에서 제외시키는 수단으로 악용될 위험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통상임금의 개념을 재정립하여 근로자의 권익을 보다 두텁게 보호하고자 하였습니다.

판결의 적용 시기와 영향

대법원은 새로운 통상임금 법리를 2024년 12월 19일 선고일 이후의 통상임금 산정부터 적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선고일 이전의 통상임금 산정에 대해서는 기존 법리에 따라 판단되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법적 분쟁이 예상됩니다.

 

이번 판례 변경으로 인해 기업은 임금 체계와 지급 조건을 재검토해야 하며, 근로자들은 자신이 받는 임금 항목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동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지침을 마련 중이며, 이는 2025년 2월경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